오복을 부르는 삶 / 고전속의 이야기[펌킨자료]
궁극적인 행복이란 무엇인가?
복 받은 삶을 사는 것이고 그 중 으뜸은 오복을 다 갖춘 삶이다.
오복이란?
壽(수)· 富(부)· 康寧(강녕)· 攸好德(유호덕)· 考終命(고종명)을 일컫는다.
조상들이 집 짓고 상량(上樑)할 때 대들보에 연월일시(年月日時)를 쓰고 그 밑에 하늘의 세 가지 빛에 응하여 인간세계에 오복을 갖춘다(應天下之三光 備人間之五福)고 쓰는 관례도 오복이 깃들기를 염원했음을 보여준다.
오복 가운데서도 으뜸은 장수다.
권력을 지닌 임금이나 최고의 부를 지닌 석숭 같은 사람의 자식으로 태어나도 일찍 죽으면 복 있는 삶이 아니다. 옛말에도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고 하지 않았던가.
오복 중 둘째는 부자로 사는 삶이다.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고 했지만 한평생을 가난 속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복 받은 삶은 아니니, 정당하게 부를 일구라는 권려(勸勵)의 의미도 있다.
세 번째 복은 강녕으로 건강을 뜻한다.
오래도록 부자로 살아도 건강하지 못하게 살아간다면 본인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힘든 삶이 된다.
네 번째 복은 유호덕으로 좋은 덕을 지닌 삶을 의미한다.
동양학에서 덕은 만물을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고 본다.
논어(論語)에 '德不孤 必有隣(덕불고 필유린)'이라는 말이 나온다. 덕이 있으면 외롭지 않고 반드시 이웃이 있다는 의미이다.
논어에는 "벗이 먼 지방으로부터 찾아오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라는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낙호)'라는 말도 나온다.
먼 곳(遠方)으로부터도 벗이 찾아올 정도로 덕이 있는 사람이라면 가까운 곳(近方)으로부터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찾아올지는 불문가지다.
오복의 마지막은 고종명, 즉 잘 죽는 것이다.
어린 자식을 두고 불의의 사고로 죽거나 젊어서 병사한 사람의 장례식장은 비통함과 애통함에 젖어 있는 것을 우리는 목도(目睹)하게 된다.
우리 조상들은 사람이 천수(天壽)를 누리고 죽으면 죽는 것 자체가 무겁고 서글픈 것임에도 불구하고 기쁘게 받아들였다.
그래서 호상(好喪)이라는 말이 실제로 존재하며 호상엔 장례를 마치 축제처럼 치렀다.
임권택 감독이 영화로 제작하기도 한 이청준 작가의 '축제(祝祭)'를 보면 우리 민족만이 바라보는 죽음의 의미를 잘 보여준다.
고종명이란 원망과 한을 남기지 않는 사람들이 누리는 복이다.
천상병 시인의 '귀천(歸天)'이라는 시에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다고 말하리라"라는 구절은 고종명의 좋은 예라 하겠다.
위의 오복을 정리하면 장수(壽), 건강(康寧), 고종명은 건강에 관한 복으로 분류할 수 있고, 유호덕은 주변인과의 좋은 관계의 중요성을 이야기한 부분이다. 부는 사회적 성공의 필요성을 언급한 것이다.
오복을 모두 누리고 사는 사람은 드물지만 그것을 누리는 사람들의 행동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그것은 그들의 생각과 삶의 방식이 복을 부르는 행위를 반복한다는 사실이다.
복이 있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잘 관리하며, 주변 사람들을 따뜻한 시선으로 배려하고, 성공을 이루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삶을 살아간다.
내 삶에 감사합니다.
내가 노력한 것에 비하여 많은 것을 누리고 있습니다.
나에게 주어진 오복의 그릇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으나 지금까지 많은 것을 가졌습니다.
남은 세월 겸손한 마음으로 복을 쌓고 지어면서 감사하는 삶으로 열심히 살겠습니다.
폭음이 계속되는 찜통더위에 건강관리 잘 하시고 즐겁고 행복한 삶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병실에 있는 울~어매 쾌유를 빌면서~~~.
[런던 올림픽]
행복한 오늘을 위하여 (0) | 2012.10.31 |
---|---|
말하려고 할 때마다 두 번 생각하라 (0) | 2012.08.11 |
부유 (0) | 2012.07.13 |
공격성 인간형 (0) | 2012.07.03 |
세월을 이길 장사는 없다 (0) | 201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