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관(本貫) |
자기 성(姓)이 나온 곳이며 또는 최초의 할아버지, 시조(始祖)의 거주지를 말한다. 곧 성씨의 고향이다. 족본·향관(鄕貫)·관적(貫籍)·본(本)이라고도 한다. |
시 조(始祖) |
제일 처음의 선조로서 첫 번째 조상. |
비 조(鼻祖) |
비조는 시조 이전의 선계조상(先系祖上) 중 가장 높은 사람을 말한다. |
중시조(中始祖) |
시조 이하에서, 쇠퇴한 가문을 일으켜 세운 조상으로서, |
세(世)와 대(代) |
시조를 1세(世)로 하여 아래로 내려갈 경우에는 세(世)라 하고, |
함(銜)과 휘(諱) |
살아 계신 분의 이름을 높여서 부를 때 함자(銜字) 라고 하며 극존칭으로서 존함이라고 한다. 그리고 돌아가신 분에 대하여는 휘자(諱字)라고 하며, 여기에는 이름자 사이에 자(字)를 넣어서 부르거나 글자 뜻을 풀어서 말하는 것이 예의이다 |
아명(兒名)과 |
옛날에는 어렸을 때 부르는 아명(兒名)이 있고, 남자가 20세가 되면 관례를 올리면서 짓게 되는 관명(冠名)이 있었다. 관명을 흔히들 [자(字)]라고 했다. 자는 집안 어른이나 스승, 선배 등이 성인이 된 것을 대견해 하는 뜻으로 지어 주었다. |
호(號) |
옛날에는 부모가 지어준 이름은 임금, 부모, 스승과 존장의 앞에서만 쓰이고 다른 사람들은 함부로 부를 수 없었다. 동년배, 친구 그 외 사람들은 자로써 불렀다. 한편 어린 사람이나 격이 낮은 사람, 또는 허물없이 부르기 위해서 호(號)를 지어 불렀다. 호는 남이 지어 줄 수도 있고, 스스로 짓기도 했었다. 호는 요즘도 쓰인다. |
시 호(諡號) |
신하가 죽은 뒤에 임금이 내려 주는 호를 시호(諡號)라 하였다. 시호를 내려 주는 것을 증시(贈諡)라고 하였으며, 죽은 뒤 장례 전에 증시하지 못하고 훨씬 뒤에 증시하게 되면 그것을 추증시(追贈諡)라고 하였다. |
항 렬(行列) |
항렬이란 같은 혈족사이에 세계(世系)의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한 문중의 법이며, 항렬자란 이름자 중에 한 글자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여 같은 혈족 같은 세대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돌림자라고도 한다. 항렬은 가문과, 파(派)마다 각기 다르게 적용하나 대략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한다. * 십간(十干) 순으로 쓰는 경우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 십이지(十二支)순으로 쓰는 경우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으로 쓰는 경우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의 변을 사용하여 순서적으로 쓰는 경우인데, 이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
출계(出系)와 |
후사(後嗣)란 세계(世系)를 이을 자손을 말한다. 후사가 없어 대를 잇지 못할 때에는 무후(无后)라고 쓴다. 무후는 무후(無後)와 같은 의미이다. 무후가(无后家)로 하지 않고 양자를 맞아 세계를 이을 때는 계자(系子)라고 써서 적자와 구별한다. 계자의 경우는 세표에 생부(生父)를 기록한다. 또 생가의 세표에는 출계(出系)라고 쓴다. 양자를 들일 때는 되도록 가까운 혈족 중에서 입양한다. 또 호적이 없는 자를 입적시켜 세계를 잇게 하는 경우는 부자(附子)라고 쓴다. 옛날에는 적자 이외의 자로 세계를 잇고자 할 때는 예조(禮曹)의 허가를 얻어야 했으며 파양(罷養)을 하고자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
사손(嗣孫)과 |
사손(嗣孫)이란 한 집안의 종사(宗嗣), 즉 계대(系代)를 잇는 자손을 말하며, 사손(詞孫)이란 봉사손(奉祀孫)의 줄임말로 조상의 제사를 받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
친족(親族) |
법률용어로서는‘친족’이라고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친척’이라고 말한다. 법률상으로 친족의 |
존속(尊屬) |
자기의 부모 또는 부모와 동등 이상의 항렬에 속하는 혈족.(부모.조부모.증조부모.....등) |
비속(卑屬) |
자기의 자손 및 그들과 동등 이하의 항렬에 속하는 혈족. (아들.손자.증손자.....등) |
◈ 제사 일반 ◈
제례 준비에 대해 알아본다. ① 기구진설 : 대청이나 정침(正寢)의 북쪽 벽 한가운데에 병풍을 두르고 교의(交椅)를 설치한다. 교의 앞에 제상(祭床)을 놓고 제상 앞에 향안(香案)을 놓으며, 향안 위에는 향로와 향합(香盒)을 놓고, 그 앞에는 모사(茅砂) 그릇을 놓는다. 향안 옆에는 주가(酒架)를 놓고 그 위에는 술주전자·강신잔반(降神盞盤)을 놓는다. ② 제물진설 : 시접(匙緡)·잔반을 신위 앞에 놓고, 과실·포(脯)·해(秊) ·소채(蔬菜) 등을 제자리에 진설한다. ③ 신위의 설치 : 질명(質明:먼동이 트려 할 때)에 주인 이하 모두 복장을 갖추고 사당에 나아간다. |
◈ 진설의 원칙 ◈
좌포우혜(左脯右醯) |
좌측에 포 우측에 혜 |
반서갱동(飯西羹東) | 밥은 서쪽, 갱은 동쪽에, 숟가락과 젓가락은 중앙에 놓는다. |
고서비동(考西비東) | 考位(남자 조상)의 신위, 밥, 국, 술잔은 서쪽에 놓고 비位(여자 조상)는 동쪽에 놓는다. |
건좌습우(乾左濕右) | 마른 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놓는다. |
어동육서(魚東肉西) |
동쪽에는 어류 서쪽에는 육류 |
동두서미(頭東西尾) |
생선의 머리가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방향으로 놓을것 |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색은 동편으로 흰색은 서편으로 |
조율이시(棗栗梨枾) |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놓는다(배와 감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 |
* 제사에서는 장소 형편상 북쪽이 아닌 곳에 제상을 차렸어도 신위(神位)가 놓인 곳을 북쪽으로 치며, |
◈ 제사음식과 기본 상식 ◈
* 복숭아와 꽁치 참치 갈치 등 "치"자로 된 생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
◈ 상차림 ◈
진설의 순서는 탕(湯)을 포함하여 5열로 차린다.
제주의 위치에서 보아 맨 앞줄에 과일, 둘째 줄에 포와 나물, 세째 줄에 탕(湯), 네째 줄에 적(炙)과 전(煎),
다섯째 줄에 메와 갱을 차례대로 놓는다.
|
◈ 기제사 의 순서 ◈
* 기제사 란 돌아가신 분의 매년 그날을 애도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이다. | |
1. 분향강신 |
강신 이란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
2. 참 신 |
제주가 강신을 마친후 모든 참가자가 함께 2번 절하는 것을 말한다. |
3. 초 헌 |
초헌이란 제주가 신위앞에 꿇어않아 분향한후 집사가 주는잔에 술을 받아서 강신할 때와 같이, |
4. 독 축 |
모든 제관이 꿇어않고 참석자 중에 한사람이 축을 읽는다. 축문을 다 읽고 나면 모두 일어나고 |
5. 아 헌 |
아헌이란 2번째 올리는 잔을 말한다. 아헌은 며느리가 올리는 것이 예(禮) 이지만, 여의치 않을때는 제주의 다음 근친자나 장손이 올린다. (여자가 절을 할 때는 4번이었으나 지금은 2번으로 줄여서 하는 경우가 많다) |
6. 종 헌 |
종헌은 세 번째 올리는 잔을 말하는데 아헌자의 다음 근친자가 전과 같은 방법으로 한다. 집안에 따라서는 아헌과 종헌때도 적을 올리는 경우가 있다. |
7. 계 반 |
계반은 메(밥) 그릇 및 탕이나 반찬의 뚜껑을 열어 놓는 것을 말한다 |
8. 삽 시 |
삽시는 메 그릇에 수저를 꽂는 것을 말한다 . 이때 반드시 수저바닥이 우측(동편)으로 향하도록 |
9. 첨 작 |
첨작이란 종헌자가 다 채우지 않은 술잔에 제주가 무릎꿇고 다른잔에 술을 조금 따르어 |
10. 합 문 |
합문이란 문을 닫고 대청이나 밖에서 조용히 기다리는 시간을 말한다. |
11. 계 문 |
제주가 앞에 서서 기침을 한다음 문을 열고 일동과 함께 들어간다. |
12. 헌 다 |
숭늉과 갱(국)을 바꾸어 올리고, 밥을 조금씩 떠서 3번정도 숭늉에 말고 정저 한다. |
13. 철시복반 |
숭늉그릇에 있는 수저를 거두어 내리고 메 그릇을 덮는 것을 말한다. |
14. 사 신 |
제관 일동이 두 번 절하고 신주 일 경우는 사당에 모시고 지방과 축문은 불태운다. |
15. 철 상 |
모든 제사음식을 내리는 것을 말하며 젯상의 위쪽에서부터 공손히 옮겨 물린다. |
16. 음 복 |
조상이 주시는 복된 음식이라 하여 제사 참가자가 모두 나누어 먹으며 이웃에도 나누어 준다 |
◈ 간지 개요 ◈
십간(十干)은 10일, 즉 1순(旬)이라는 뜻에서 나온 것 같으며, 갑(甲) ·을(乙) ·병(丙) ·정(丁) · |
* 10干 10가지와 12支 12가지가 계속 돌아가면서 조합이 이루어 지므로 |
◈ 10干과 12支 ◈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辛) |
임(壬) |
계(癸) |
|
|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
쥐띠 |
소띠 |
범띠 |
토끼띠 |
용띠 |
뱀띠 |
말띠 |
양띠 |
원숭이 |
닭띠 |
개띠 |
돼지띠 |
23- |
01- |
03- |
05- |
07- |
09- |
11- |
13- |
15- |
17- |
19- |
21- |
◈ 10간과 12지의 구성 ◈ (갑자부터 계해까지 1사이클은 60년임)
갑자 |
을축 |
병인 |
정묘 |
무진 |
기사 |
경오 |
신미 |
임신 |
계유 |
1924 |
1925 |
1926 |
1927 |
1928 |
1929 |
1930 |
1931 |
1932 |
1933 |
갑술 |
을해 |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임오 |
계미 |
1934 |
1935 |
1936 |
1937 |
1938 |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
무자 |
기축 |
경인 |
신묘 |
임진 |
계사 |
1944 |
1945 |
1946 |
1947 |
1948 |
1949 |
1950 |
1951 |
1952 |
1953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1954 |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1960 |
1961 |
1962 |
1963 |
갑진 |
을사 |
병오 |
정미 |
무신 |
기유 |
경술 |
신해 |
임자 |
계축 |
1964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1972 |
1973 |
갑인 |
을묘 |
병진 |
정사 |
무오 |
기미 |
경신 |
신유 |
임술 |
계해 |
1974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1982 |
1983 |
갑자 |
을축 |
병인 |
정묘 |
무진 |
기사 |
경오 |
신미 |
임신 |
계유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갑술 |
을해 |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임오 |
계미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
무자 |
기축 |
경인 |
신묘 |
임진 |
계사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1019 |
2020 |
2021 |
2022 |
2023 |
갑진 |
을사 |
병오 |
정미 |
무신 |
기유 |
경술 |
신해 |
임자 |
계축 |
2024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2030 |
2031 |
2032 |
2033 |
갑인 |
을묘 |
병진 |
정사 |
무오 |
기미 |
경신 |
신유 |
임술 |
계해 |
2034 |
2035 |
2036 |
2037 |
2038 |
2039 |
2040 |
2041 |
2042 |
2043 |
◈ 24 절기 ◈
24기는 12절기와 12중기로 되어 있다. 현행의 태양력에 따르면 절기는 매월 4∼8일에 있게 되고, 중기는 매월 하순에 있게 된다. 그러나 절기의 입기일을 매월 초 1일로 하는 새로운 태양력을 구상하면 중기는 언제나 월의 중앙에 있게 된다. 이런 역을 절월력(節月曆)이라고 한다. | |
봄 |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
여름 |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
가을 |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
겨울 |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
1.입춘(立春) |
입춘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정월(正月) 절기로 |
2.우수(雨水) |
우수는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있는 음력 정월 중기(中氣)로 양력(陽曆)으로는 |
3.경칩(驚蟄) |
경칩은 우수(雨水)와 춘분(春分)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2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
4.춘분(春分) |
춘분은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있는 음력 2월 중기(中氣)로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지며 양력으로는 3월 21일경이다. 춘분 기간에는 제비가 날아오고, 우레소리가 들리며, |
5.청명(淸明) |
청명은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있는 음력 3월 절기로 양력으로는 4월 5일경이다. |
6.곡우(穀雨) |
곡우는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있는 음력 3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4월 20일 경이다. 의미는 봄비가 내려 백곡(百穀)이 윤택 해진다는 것이고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고 |
7.입하(立夏) |
입하는 곡우(穀雨)와 소만(小滿) 사이에 있는 음력 4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5월 6일경이다. |
8.소만(小滿) |
소만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있는 음력 4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5월 21일경이다. 의미는 만물(萬物)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뜻으로 날씨가 여름에 들어서 모내기가 시작되고 보리수확(收穫)을 하기 시작한다. 소만 기간에는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다고 한다. |
9.망종(芒種) |
망종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5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
10.하지(夏至) |
하지는 망종(芒種)과 소서(小暑)사이에 있는 음력 5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6월 22일경이다. 이 날은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 되는데, 이는 지구 표면이 받는 열량(熱量)이 가장 |
11.소서(小暑) |
小暑는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7월 7일경이다. 날씨는 더위와 함께 장마전선의 정체로 습도가 높아 장마철이 시작된다. |
12.대서(大暑) |
대서는 소서(小暑)와 입추(立秋) 사이에 있는 음력 6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7월 23일경이다. 대개 중복(中伏) 시기와 비슷해서 폭염의 더위가 심한 시기이면서도 장마로 인해 많은 비를 |
13.입추(立秋) |
입추는 대서(大暑)와 처서(處暑)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7월 절기(節氣)로 양력(陽曆)으로는 |
14.처서(處暑) |
처서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있는 음력 7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8월 23일경이다. 의미는 더위가 물러간다는 뜻이다. 처서 기간에는 매가 새를 잡아 늘어 놓고, 천지가 쓸쓸해지며, 논 벼가 익는다고 한다. |
15.백로(白露) |
백로는 처서(處暑)와 추분(秋分) 사이에 있는 음력 8월 절기(節氣)로 양으로는 9월 8일경이다. |
16.추분(秋分) |
추분은 백로(白露)와 한로(寒露) 사이에 있는 음력 8월 중기(中氣)로 춘분과 함께 밤낮의 길이가 |
17.한로(寒露) |
한로는 추분(秋分)과 상강(霜降) 사이에 있는 음력 9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0월 9일경이다.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 서리가 되며, 단풍이 짙어지고 여름새와 겨울새의 교체 시기에 해당하며 |
18.상강(霜降) |
상강은 한로(寒露)와 입동(立冬) 사이에 있는 음력 9월 중기(中氣)로 태양이 양력으로는 |
19.입동(立冬) |
입동은 상강(霜降)과 소설(小雪) 사이에 있는 음력 10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1월 8일경이다. 입동 기간에는 물이 비로서 얼고, 땅이 처음 얼며, 꿩은 드물고 조개가 잡힌다고 한다. |
20.소설(小雪) |
소설은 입동(立冬)과 대설(大雪) 사이에 있는 음력 10월 중절(中氣)로 양력으로는 |
21.대설(大雪) |
대설은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있는 음력 11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2월 7일경이다.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라는 의미이지만 실제 추위의 계절은 동지(冬至)를 지나서부터다. |
22.동지(冬至) |
동지는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있는 음력 11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12월 22일경이다. 동지는 24절기 중에 직접적인 풍습이 가장 많이 있는 기간이다. 민간에서도 동지절식(冬至節食)을 먹었는데, 붉은 팥으로 죽을 쑤어 그 속에 찹쌀로 옹시미 또는 새알심이라는 단자(團子)를 만들어 넣어 먹고 또 역귀(疫鬼)를 쫓는다는 의미로 팥죽 국물을 벽이나 문에 뿌렸다. |
23.소한(小寒) |
소한은 동지(冬至)와 대한(大寒) 사이에 있는 음력 12월 절기(節氣)로 양력으로는 1월 6일경이다. 대한이 더 춥다는 의미지만 우리나라는 소한 때가 더 추워 " 대한이 소한집에 놀러 갔다가 |
24.대한(大寒) |
대한은 소한(小寒)과 입춘(立春) 사이에 있는 음력 12월 중기(中氣)로 양력으로는 1월 21일경이다. 겨울 추위의 매듭을 짓는다는 의미의 대한(大寒)이지만 실제는 소한(小寒) 때가 더 춥다. |
오늘을 사는 10가지 지혜 (0) | 2009.10.21 |
---|---|
행복을 이끄는 부부 수칙 (0) | 2009.09.26 |
아리송한 충격 상식몇가지 (0) | 2009.08.28 |
생활의 지혜 (0) | 2009.07.24 |
물이 약이다 (0) | 2009.07.24 |